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쉽게 전파됩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역 감염이 늘어나고 있고, 우리나라도 해외여행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 홍역(Measles)
홍역에 감염되면 고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감염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전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1세 미만의 영유아는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아 반드시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 증상
홍역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잠복기(약 10~14일) 후 초기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구기 증상(초기 증상)
- 발열(고열)
- 기침, 콧물, 재채기
- 결막염으로 인한 눈 충혈과 눈부심
- 전신 무력감
- 입 안쪽 볼 점막에 작은 흰색 반점(코플릭 반점) 발생
2. 발진기 증상
- 감염 후 약 14일째부터 발진이 발생하며, 보통 귀와 이마에서 시작해 몸 전체로 퍼짐
- 발진은 약 7일간 지속되며 점차 갈색으로 변하고 탈락 반응을 보이며 사라짐
⊙ 진단 방법
홍역은 주로 임상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를 통해 홍역 특이 항체를 확인하거나, 비점막 분비물에서 다핵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를 관찰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통해 확진하기도 합니다.
⊙ 치료 방법
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며,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 치료가 기본입니다.
-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사용하여 발열 조절
- 기침과 콧물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
- 합병증 예방을 위해 면역력이 약한 경우 면역 글로불린(Human immune globulin) 투여 가능
- 홍역에 노출된 지 72시간 이내에 생백신(MMR)을 접종하면 감염 예방 효과 기대 가능
⊙ 합병증
홍역은 단순한 감염병이 아니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흡기 합병증: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가장 흔한 합병증)
- 신경계 합병증: 뇌염,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대뇌 혈전 정맥염
- 소화기 합병증: 설사, 영양 결핍
- 장기적인 신경계 손상: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SSPE) - 홍역 바이러스가 중추신경계에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켜 발생할 수 있는 희귀 질환
⊙ 예방 및 백신 접종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MMR 백신(홍역, 볼거리, 풍진 혼합백신) 접종입니다.
1. 정기 예방접종 일정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 2차 접종: 만 4~6세
- 1차 접종 시 93%, 2차 접종 시 97% 예방 효과 기대
2.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
홍역이 유행하는 국가를 방문할 경우, 사전 예방이 필수입니다.
- 생후 6~12개월 영아: 해외 출국 전 가속 접종 권장
- 성인 및 어린이: MMR 백신 2회 접종 여부 확인, 미접종 시 최소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 노출 후 예방: 홍역 환자와 접촉한 경우 72시간 이내에 MMR 백신 접종 또는 면역 글로불린 투여 검토
⊙ 해외여행: 주의사항
홍역은 국내에서도 법정 2급 감염병으로 분류되며, 검역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외여행 후 귀국 시 홍역 의심 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공항 검역소에 신고해야 합니다.
- 해외 방문 후 2주 이내 고열, 기침, 콧물, 결막염,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 방문
- 해외 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리고 진료받기
- 홍역 확진 시 정부 지원을 받아 격리 치료 가능
⊙ 마무리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이지만, 백신 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 및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예방접종을 반드시 완료해야 하며, 해외여행 전에는 홍역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홍역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 조치를 준수해야 합니다.
'미용.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란? 원인, 증상,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5.03.21 |
---|---|
C형 간염 증상부터 치료, 무료 검사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3.17 |
한타바이러스 감염증: 원인, 증상, 국내 감염 사례 및 예방법 (0) | 2025.03.10 |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 주사제 및 먹는 약 효과와 부작용 휴약기간 (0) | 2025.03.10 |
대장 용종과 선종 차이점, 재발 가능성 및 제거 방법 필수 정보 총정리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