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은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질환입니다. 심할 경우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2025년부터 C형 간염이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되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진찰료와 확진 검사비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1. 무료 검사
대상자
C형 간염 검사가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되었으며, 무료 검사 대상자는 56세 이상의 국가건강검진 수검자가 대상입니다.
☞ 2025년 기준 : 1969년생
현재는 특정 연령대에서만 제공되지만, 향후 무료 검진 대상 연령대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진찰료 및 검사비 지원
C형간염 항체검사는 선별 검사로 결과가 양성이라고 해서 바로 C형 간염 환자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과거에 감염되어 치료가 된 경우나 현재 감염되지 않았지만 항체를 보유한 경우에는 검사 시 양성 반응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성 결과를 받았다면 별도의 확진 검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확진 검사에 필요한 진찰료와 검사비 본인 부담금을 최초 1회에 한해 전액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방법
확진검사는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까운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해도 됩니다.
2. C형 간염이란?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감염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피로감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큽니다. 만성 간염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발견이 필수적입니다.
3. 주요 증상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피로감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환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변 색이 짙어짐 (콜라색)
- 눈과 피부에 황달 발생
- 복부 팽만감 및 복수
- 식욕 저하 및 체중 감소
- 지속적인 피로 및 무기력
- 간 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 장애
4. 감염 경로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됩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주사기 또는 주사침 재사용
-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시술
- 오염된 면도기, 손톱깎이 공유
- 1991년 이전 수혈 (현재는 철저한 검사를 통해 예방됨)
- 불법 시술 또는 의료 행위
특히, C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없기 때문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5. 진단 및 치료
진단 방법
혈액검사를 통해 C형 간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항체 검사를 시행하며, 항체가 검출되면 추가적인 PCR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
치료 방법
과거에는 치료가 어려웠지만, 현재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DAA)를 8~12주간 복용하면 95% 이상 완치가 가능합니다. 조기 치료를 받으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6. 완치 후 주의사항 및 예방법
C형 간염은 완치되더라도 면역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재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또한 예방 백신이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사기 및 침은 반드시 1회용 사용
-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공유 금지
-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시술 피하기
- 의료기관에서 위생적인 시술 여부 확인
C형 간염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방치하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지만, 다행히 치료제가 개발되어 완치가 가능합니다.
2025년부터는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무료 검사도 시행되니, 1969년생이라면 올해 무료 검진 기회를 꼭 활용하여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 복부 CT 검사 비용 및 금식 시간 준비사항 조영제 투여 및 부작용 총정리
☞ 경동맥 초음파 검사 및 결과 건강보험적용 검사비용, 동맥경화협착
☞ 대장내시경 나이 및 주기 고령자 검사 시 주의사항, 대장암 국가검진
☞ 우루사 효능 및 종류 처방전 총정리, 복합 대웅 우루사정 복용법
'미용.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눈약 & 밴드 효과 및 사용법, 발에 생긴 티눈 원인과 치료법 총정리 (0) | 2025.03.23 |
---|---|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란? 원인, 증상,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5.03.21 |
홍역(Measles): 전염성과 예방 방법, MMR 백신 접종 시기 및 효과 (0) | 2025.03.12 |
한타바이러스 감염증: 원인, 증상, 국내 감염 사례 및 예방법 (0) | 2025.03.10 |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 주사제 및 먹는 약 효과와 부작용 휴약기간 (0) | 2025.03.10 |
댓글